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1

교향곡의 특징과 분석(+고전, 모차르트) 교향곡의 특징과 분석(+고전, 모차르트) 교향곡이란? 관현악을 위한 긴 악곡 형식입니다. 특히 소나타 형식으로 이뤄져 있는데 3~4개의 커다란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 가운데 적어도 1악장 이상은 소나타 형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보통 4악장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제1악장은 소나타 형식의 빠른 곡조, 제2악장은 가요 형식, 제3악장은 미뉴에트나 스케르초의 무곡 형식, 제4악장은 빠른 템포의 론도나 소나타 형식입니다. 물론 개 중에는 1악장으로 된 것, 2악장으로 된 것, 5악장으로 된 것도 있지만 대개는 4악장으로 구성되며 이 4악장이 우리식 표현으로 하자면 기, 승, 전, 결 이 되는 것입니다. 1악장은 대부분 빠르고 생동감이 넘칩니다. 물론 맨 처음 부분은 장중하고 느리게 시작하는 경우도 있지만 .. 2021. 12. 24.
음악형식의 정의와 작품(+즉흥곡, 연습곡, 디베르멘토, 환상곡, 마주르카) 음악형식의 정의와 작품(+즉흥곡, 연습곡, 디베르멘토, 환상곡, 마주르카) 1. 즉흥곡 즉흥곡은 19세기의 캐릭터리스틱 피스라 하여 표제적인 특징을 가진 곡을 막연하게 불렀던 기악곡의 일종입니다. 작곡자의 마음속에 순간적으로 떠오른 악상을 자유로우면서도 정확한 기법으로 쓴 소품입니다. 이것은 즉흥적 요소는 있으나 즉흥 연주를 위해 작곡된 것은 아닙니다. 즉흥곡에는 빠르고 약동하는 부분과 서정적으로 노래하는 부분은 대립시켜 작곡된 예가 많습니다. 이 같은 작품은 슈베르트 즉흥곡 Op.90과 Op.142에서 볼 수 있습니다. 그 의 8곡의 즉흥곡은 시적이고 풍부한 정서를 담고 있어 낭만파 음악에 중요한 방향을 제시하였습니다. 2. 연습곡 및 대표적 작품 연습곡이란 연주기교의 습득을 목적으로 쓴 곡인데 연주 .. 2021. 12. 22.
음악형식의 정의와 작품(+왈츠, 세레나데, 랩소디) 음악형식의 정의와 작품(+왈츠, 세레나데, 랩소디) 1. 왈츠 명칭의 기원은 일반적으로는 독일어의 Waltzen(구르다, 회전하다)에서 유래하며 처음에는 회전운동을 말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되었다가 점차로 어떤 일정한 독일의 무곡 형식을 가리켜 말하게 된 것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왈츠는 17세기 독일에서 생긴 3/4박자 또는 3/8박자의 느린 무곡인 렌들러에서 발전되었습니다. 19세기 전형적인 왈츠의 최초의 예는 베버의 “무도회의 권유”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 후 왈츠는 실제 무도용의 전형적인 ‘빈 왈츠’의 양식이 완성되었습니다. 형식은 초기에는 단순한 두 도막 형식 또는 세 도막 형식의 것이었으나 빈 왈츠의 전성시대에 대규모적인 것이 먼저 긴 서주부가 있고 두 도막 또는 세 도막 형식의 왈츠가 3곡에.. 2021. 12. 22.
음악형식의 정의와 작품(+서곡, 조곡) 음악형식의 정의와 작품(+서곡, 조곡) 1. 서곡 서곡은 대규모의 악곡이나 오페라에 붙인 서곡과 전혀 독립된 연주회용으로 작곡된 서곡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또한 전자의 서곡 일지라도 바그너 작품에서는 이후의 것은 서곡이라 하지 않고 전주곡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리스트의 교향시에 이라 이름 붙여진 것이 있는데, 이것은 이런 뜻의 전주곡이 아니라 완전히 독립된 작품으로서, 인생의 전주곡이란 뜻에서 붙인 제명입니다. 이에 반해서 보통의 오페라에서는 각 막간에 연주되는 곡을 전주곡 또는 간주곡이라고 부릅니다. 또, 바그너 등의 전주곡은 형식보다는 내용적 요소를 중시해서 그 오페라의 선율이나 분위기를 발전시키고 있는데 반해, 옛 오페라, 즉 롯시니가 개혁하기 이전의 이탈리아 옛 오페라의 서곡은 거의 대부.. 2021. 12. 21.
음악형식의 정의와 작품(+스케르초, 표제음악) 음악형식의 정의와 작품(+스케르초, 표제음악) 1. 스케르초 고전적인 소나타나 교향곡에는 흔히 제3악장에 미뉴엣이라는 무곡 형식을 취하고 있으나 베토벤(엄밀히 말하자면 하이든의 현악 4중주 중) 이후에는 미뉴엣 대신에 스케르초가 흔히 사용되어 왔습니다. 이 형식은 대개 3부 가곡 형식인데, 일반적으로 다소 익살스러운 형식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단순히 익살스럽게 한다기보다는 인간미를 느끼게 하는 부분도 있습니다. 베토벤의 제5번 교향곡 의 스케르초를 들어보면 이것은 익살스럽다기 보다는 오히려 인생의 비통함에 대한 인간의 비장한 반항을 느낄 정도 입니다. 물론 베토벤의 제9번 교향곡 의 스케르쬬 처럼 거상이 희희낙락 뛰노는, 어찌 보면 그로데스크 하기조차 한 유머를 띤 곡도 있습니다. 고전적이 아닌 스케르초.. 2021. 12. 21.
음악형식의 정의와 작품(+소나타, 론도, 변주곡, 푸가 형식) 음악형식의 정의와 작품(+소나타, 론도, 변주곡, 푸가 형식) 음악은 작곡가의 영감이나 예술적 표현으로 쓰이지만 그렇다고 아무런 기본적인 요건이나 골격을 무시하고 써 놓은 것은 결코 아닙니다. 세상의 모든 것에 법칙이 있듯 음악에는 예외가 있을지라도 일정한 법칙이 적용되는 것들은 정해진 순서와 배열에 따라 진행됨으로써 상호 간에 통일된 연관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것은 하나의 대비(對比), 변화, 통일이며, 악곡상으로는 화성의 변환, 전조, 주제의 전개, 악장의 대비 등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학교에서 악곡의 형식을 배울 때는 노래를 부르면서 빠른 이해를 위해 대부분 '가곡 형식'을 많이 다루는데 두 개의 작은 악절(8마디)은 한 도막 형식, 2개의 큰악절(16마디)은 구성되는 두 도막 형식, 3개의 .. 2021. 12.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