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1

목관악기 클라리넷의 특징 목관악기 클라리넷의 특징 관현악단, 군악대, 브라스 밴드에서 사용되며 독주용으로도 사용됩니다. 1.5㎝ 정도 지름의 원통형 관으로 끝이 나팔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보통 아프리카 흑단 나무로 만듭니다. 금속 재료만을 사용하여 제작된 것도 있지만 클라리넷 걸작 곡에서 사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경질 고무인 에보나이트로 만든 취구의 한쪽 면에 구멍이 뚫려 있고, 그 위로 대나무로 만든 얇은 홑리드가 리가처라고 하는 나사식 조임 틀(초기에는 조임 틀 대신 줄을 사용하기도 했는데, 오늘날 독일에서는 이러한 형태가 계속 남아 있음)로 매어 있습니다. 연주자는 리드를 아래쪽으로 한 상태에서 취구를 물고 양입술이나 아랫입술과 윗니 사이로 불어 소리를 냅니다. 대략 66㎝의 길이의 B♭클라리넷이 일반적입니다. 손.. 2021. 12. 7.
목관악기의 종류와 특징(+플루트, 오보에) 목관악기의 종류와 특징(+플루트, 오보에) 1. 플루트의 특징 목관 악기이자 기명 악기입니다. 다른 목관 악기들과는 달리 리드를 사용하지 않고 관에 바람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게 하는 간단한 원리를 이용하여 뚫어진 구멍을 손가락으로 막거나 열어 음의 고저를 조절합니다. 원래 플루트란 리드를 가지지 않는 관악기의 총칭이나, 오늘날에는 오케스트라에 쓰이는 특정의 가로피리를 말합니다. 이 항에서는 이 뜻의 플루트와 동족의 악기를 다룹니다. 오늘날 오케스트라에 쓰이는 플루트는 1847년 독일 사람 뵘에 의하여 완성된 것으로, 뵘식 플루트라고 하는 것입니다. 전 길이 약 66cm의 한쪽 끝이 막힌 피리로, 재질은 거의가 금속이나, 목제의 것도 간혹 있습니다. 본래는 목제 악기였으므로 금속제가 보통으로 된 현재에도 .. 2021. 12. 7.
현악기의 대표적 작품 현악기의 대표적 작품 1. 바흐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 제6번 D장조 6곡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도 무반주 바이올린 소나타나 모음곡과 마찬가지로 고금의 첼로곡 중 최고봉의 하나로 꼽히는 걸작입니다. 6곡 중 제 6번이 가장 규모가 크고 내용도 풍부하여 수많은 악상이 넘쳐흐르는 명곡입니다. 본래는 바흐 자신이 고안한 첼로보다 작은 5현 악기인 비올라 폼포사를 위해 쓰였다고 하며 그런 만큼 현재의 4현 첼로에 의한 연주는 기교적으로 어렵다고 합니다. 전곡이 모두 D장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정확한 작곡 연대는 밝혀지지 않고 있습니다. 2. 파가니니의 24개의 카프리스 파가니니는 이탈리아 제노바 출신의 바이올리니스트였습니다. 그는 진정한 천재이자 노력가였습니다. 10대 초에 이미 당대의 대부분의 연주 기법을 마스터한.. 2021. 12. 6.
현악기의 대표적 작곡가 현악기의 대표적 작곡가 1. 니콜로 파가니니 (Niccolo Paganini, 1782-1840) 거장시대의 계기를 만든 19세기의 대표적인 명바이올리니스트입니다. 이탈리아인. 십대 초반에 이미 전통적인 주법을 모두 터득하였고, 17세때부터 연주여행을 시작하여 순식간에 명성과 부를 획득하였습니다. 그러나, 도박과 방탕으로 마침내 자기가 애용하던 바이얼린까지 내놓게 된 그는 한동안 연주활동을 중지하기도 했습니다. 1804년 고향 제노바로 돌아가 재출발, 예전보다도 더 성공을 거두어 그 묘기는 이탈리아 국외로 전해져 갔습니다. 28년 최초의 국외 연주여행을 떠나 빈, 베를린, 폴란드, 파리, 영국의 각지에서 열광적인 환영을 받았고 32년에 귀국한 후에는 주로 프랑스와 이탈리아를 왕복하였습니다. 한편 작곡에도.. 2021. 12. 6.
발현악기 하프의 악기론(+만돌린) 발현악기 하프의 악기론 발현악기란 손톱, 손가락 또는 피크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줄을 튕겨 연주하는 악기를 말합니다. 서양 악기로는 기타, 만돌린 등이 있으며 우리나라의 국악기로는 거문고, 가야금들이 있습니다. 바이올린은 찰현악기이지만 손가락으로 줄을 튕겨서 연주하는 피치카토 주법도 사용합니다. 또한 콘트라베이스는 재즈곡을 연주하다 보면 활을 써서 연주하는 아르코 주법보다 활을 튕겨서 연주하는 피치카토 주법의 비중이 비슷합니다. 현들은 각기 하나의 음을 내며, 길이 순서대로 배열된 현들은 짧은 현일수록 높은음을 내고 긴 현일 수록 낮은음을 냅니다. 공명통은 대개 나무나 가죽으로 만듭니다. 활형 하프에서는 목(윗부분의 줄걸이판)이 몸통과 부드러운 곡선 모양으로 연결되어 있고, 각형 하프에서는 몸통과 목이.. 2021. 12. 5.
찰현악기 비올라의 악기론(+첼로, 콘트라베이스) 찰현악기 비올라의 악기론(+첼로, 콘트라베이스) 1. 비올라 바이올린족(族) 중 테너 악기에 해당하는 현악기입니다. 줄임말로 Va라고도 사용합니다. 바이올린과 모양은 비슷하지만, 몸통의 길이가 바이올린보다 5㎝ 정도 큰 37~43㎝입니다. 비올라의 4현은 가온 다(C) 음의 한 옥타브 아래음에서 시작하여 c-g-d'-a'로 조율되어 있습니다. 근대 교향악단에서는 6~10대 정도의 비올라를 사용합니다. 18세기 관현악단에서 비올라는 대개 첼로 성부를 한 옥타브 위로 중복(doubling) 연주했습니다. 글루크, 모차르트, 하이든이 비올라를 위한 곡을 작곡해서 비올라는 점차 관현악단에서 독자적인 몫을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베를리오즈의 〈이탈리아의 아롤 Harold en Italie〉에는 비올라 독주가 긴 부.. 2021. 12.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