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9 스파티필럼과 제브리나, 브라이달벨 재배 및 관리 방법 스파티필럼과 제브리나, 브라이달벨 재배 및 관리 방법 1. 스파티필럼 재배 및 관리 방법 스파티필럼은 강건한 식물로 상당히 어두운 장소에서 자라는데 건전한 꽃을 보려면 가급적 밝은 실내에 두어 비료도 주어야 합니다. 스파티필럼에는 많은 원종이 알려져 있으나 화분용으로 이용되는 것은 가장 소형인 프로리반덤 미리안 정도입니다. 우리들이 흔히 보는 것은 대부분이 몇 가지 원종을 이용 작출 해낸 원예 품종으로 종자에서 키워진 것은 품종명도 없이 판매되고 있습니다. 스파티필럼은 여름에 강한 햇볕을 피해 창가 밝은 실내에 둬야 합니다. 봄에서 가을까지는 분흙의 표면이 마르면 흠뻑 주는 것이 좋고, 겨울에는 건조한 듯이 유지해줍니다. 비료는 4월부터 10월까지 월 1회, 깻묵이 주체인 완효성 비료를 치비로 반드시 주.. 2021. 9. 25. 종려죽, 관음죽과 싱고늄의 재배 및 관리 방법 종려죽, 관음죽과 싱고늄의 재배 및 관리 방법 1. 종려죽 관음죽의 재배 및 관리 방법 내한성에 훌륭하며 또 내음성도 강해 강건한 식물, 그러나 찬바람이나 강한 햇볕에 잎이 상하기 쉬워 해그늘이나 밝은 실내에서 키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관음죽과 종려죽을 함께 묶어 관종죽이라고 부르는데 모두가 야자의 무리 속에 속하고 있습니다. 그 원산지인 중국 남부에서는 뜰에 심어 관상하는데 우리나라에 도입도 오래되어 많은 품종이 선발 및 재배되고 있습니다. 특히 관음죽에서의 품종 분화는 다양해 매우 인기가 있습니다. 종려죽이나 관음죽은 강풍을 피한 해그늘이나 밝은 실내에 배치 하는것이 좋습니다. 분흙이 마르기 시작하면 물을 흠뻑 줘야 합니다. 단, 과습은 뿌리 썩음의 원인이 되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비료는 1~2개월.. 2021. 9. 21. 산세베리아와 세플레라의 재배 및 관리 방법 산세베리아와 세플레라의 재배 및 관리 방법 1. 세플레라 재배 및 관리 방법 세플레라는 고무나무와 마찬가지로 매우 강건한 식물입니다. 싹이 잘 트므로, 가끔 흩어진 포기의 재생 방법이 중요합니다. 세플레라는 열대부터 아열대의 모든 지역에 많은 종류가 있지만 재배되고 있는 품종은 극소수입니다. 모두가 팔손이나무와 같은 장상엽으로, 그 대표 격이라 하는 홍콩, 그리고 줄무늬의 것이 몇 종류, 잎 모양이 다른 것도 몇 개가 알려져 있습니다. 또 다른 근연의 큰 잎을 갖는 브랏사이아, 그것과 흡사한 츠히단사스도 재배되고 있습니다. 세플레라는 밝은 실내가 이상적이지만 모든 환경에 잘 순응합니다. 봄에서 가을까지 실외 햇볕을 잘 쬐게 하면 실찬 나무가 됩니다. 물 주기는 물 끊어짐에도 강하지만 하이드로컬처로 해도 .. 2021. 9. 19. 군자란과 코르딜리네 재배 및 관리 방법 군자란과 코르딜리네 재배 및 관리 방법 1. 군자란 재배 및 관리 방법 군자란은 내한성, 내음성 모두 강하고 물 끊어짐에도 잘 견디는 극히 튼튼한 식물인데 강한 햇살은 피하도록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잎 폭이 넓고 잎 끝이 둥그스름한 것을 일반적으로 달마계라 부르고 있습니다. 또 크림색의 꽃이 피는 노랑꽃 군자란도 있습니다. 꽃잎이 호화스러운 데다 강한 빛이나 따스함을 그다지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화분 꽃으로 잘 가꾸면 잇따라 포기가 늘어나 분 수도 늘릴 수가 있습니다. 봄에서 가을까지는 강한 햇볕을 피한 밝은 실외 또는 실내의 밝은 곳에 둡니다. 분흙의 표면이 마르면 흠뻑 물을 줍니다. 비료는 3월부터 11월까지 월 1회 깻묵이 주체인 완효성 비료를 치비로 줍니다. 번식법은 갈라져 나와 자란 그루는 갈.. 2021. 9. 19. 관엽 베고니아와 크로톤의 관리 및 재배방법 관엽 베고니아와 크로톤의 관리 및 재배방법 1. 관엽 베고니아 재배 및 관리방법 관엽 베고니아는 재배하기 쉬운 식물입니다. 연중 해그늘 또는 밝은 실내에 두어도 잘 자랍니다. 장기간 어두운 곳에 두거나 강한 햇볕은 피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 과습에 의한 뿌리 썩음에 주의해야 합니다. 베고니아에는 많은 종류가 있어 그중에서 주로 잎을 관상하는 것을 관엽 베고니아라고 부릅니다. 특히 렉스라 부르는 것은 잎의 모양이나 색채의 변화도 커 대표종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밖에는 줄기가 가로 퍼지는 근경성종, 나무숲의 일부 등 모두가 아름다운 잎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관엽 베고니아는 밝은 실내에 배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물 주기는 건조에 강한 반면, 과습에 약하니 주의해야 합니다. 5~10월까지 월 1~2회 역비.. 2021. 9. 19. 칼라디움, 칼라테아, 마란타의 관리방법 칼라디움, 칼라테아, 마란타의 관리방법 1. 칼라디움 관리방법 많은 얼룩무늬 잎 식물은 강한 햇볕에는 잎뎀을 일으키는데 칼라디움은 반대로 강한 햇볕과 고운 상태에서 품종 본래의 색채를 나타냅니다. 칼라디움은 중남미에서 자생하는 두 가지 원종에서 개량된 것인데 그 원종에 비해 원예종은 색채도 화려해져 원종의 모습은 상상하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예전에는 백색계인 칸디덤이 재배의 태반을 차지하고 있었는데 최근에는 많은 품종이 도입되어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칼라디움은 햇볕이 충분히 드는 옥외, 실내에 들여놓을 경우는 가급적 밝은 장소에 둬야 합니다. 칼라디움은 물을 좋아하지만 과습을 싫어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비료는 5월부터 9월까지 월 1회, 질소분이 적은 골분, 어분 등을 치비로 주는 것이 좋습니다... 2021. 9. 19.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