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엽 베고니아와 크로톤의 관리 및 재배방법
1. 관엽 베고니아 재배 및 관리방법
관엽 베고니아는 재배하기 쉬운 식물입니다. 연중 해그늘 또는 밝은 실내에 두어도 잘 자랍니다. 장기간 어두운 곳에 두거나 강한 햇볕은 피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 과습에 의한 뿌리 썩음에 주의해야 합니다.
베고니아에는 많은 종류가 있어 그중에서 주로 잎을 관상하는 것을 관엽 베고니아라고 부릅니다. 특히 렉스라 부르는 것은 잎의 모양이나 색채의 변화도 커 대표종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밖에는 줄기가 가로 퍼지는 근경성종, 나무숲의 일부 등 모두가 아름다운 잎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관엽 베고니아는 밝은 실내에 배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물 주기는 건조에 강한 반면, 과습에 약하니 주의해야 합니다. 5~10월까지 월 1~2회 역비를 줍니다. 꺾꽂이, 포기나누기, 뿌리줄기묻이, 적기는 4~6월이 좋습니다. 월동기간에는 5℃ 정도로 휴면시키고 가능하면 10℃ 이상으로 월동시키면 좋습니다. 병해충에는 선충류, 흰가루병, 회색곰팡이 병이 있습니다.
만약 관엽 베고나아가 묵은 잎이 누렇게 되어서 떨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경우 원인으로 몇 가지 들 수 있습니다. 어두운 장소에 오래 둔 것이나 뿌리 막힘에 의한 것이 많다고 생각되기도 합니다. 5℃ 전후인 추위에 장기간 방치된 것이나 너무 건조한 상태에 서도 잎이 떨어지게 됩니다. 이런 것은 나무숲 베고니아의 증상인데 마찬가지로 근경성도 잎을 1~2장 남기고 고추냉이 뿌리와 같은 뿌리줄기를 노출시키는 것도 있습니다. 그 경우 과습이나 다비에 의한 뿌리 썩음, 뿌리 막힘이 원인입니다. 어느 경우이든 갈아 심기나 꺾꽂이 등의 방법으로 재생시키면 좋을 것이고 적기는 4~6월경입니다.
뿌리 막힘인 경우는 포기를 분에서 빼내 뿌리에 뭉친 흙을 해쳐 묵은 흙은 1/3~1/2 떨구고, 묵은 뿌리를 잘라 버리고 한 둘레 큰 분에 갈아 심습니다. 용토는 마사토와 부엽토를 같은 양으로 섞은 것을 사용합니다. 한편, 뿌리 썩음이 진행된 포기에는 번식과 마찬가지로 작은 어린 묘를 키워 재생시킵니다. 그 방법은 꺾꽂이가 가장 간단합니다. 삽수는 정아, 잎이 떨어져 버린 줄기, 잎 꼭지가 있는 1장의 잎, 1장의 잎을 굵은 잎 맵을 중심으로 자른 것 등이 좋으며 비료분이 없는 흙을 사용하여 꺾꽂이해줍니다.
2.크로톤 재배 및 관리방법
크로톤은 잎 두께가 얇은 품종을 제외하고 강한 햇살 아래서 잘 자라며 햇볕이 나쁜 곳에 놓아두면 잎이 곧 떨어집니다. 크로톤은 갖가지 잎 모양, 색채의 것이 있어 남태평양 여러 섬에는 품종명이 없는 것이 다수 자생하며, 화분용으로는 극히 일부의 품종을 이용합니다. 권엽, 대엽, 모엽, 황검엽, 잎 끝에 작은 잎이 달리는 비엽계 등이 시판되며, 여름의 화분용으로 인기가 있습니다.
봄에서 가을까지는 햇볕에 잘 드는 옥외에 햇볕을 충분히 쬐어주면 색채도 아름다워집니다. 그리고 건조에는 강하지만 심한 물 끊어짐은 잎이 떨어지는 원인이 되므로 분흙이 회게 마르면 물을 흠뻑 줍니다. 4월부터 10월까지에 2~3회, 깻묵이 주체인 완효성 비료를 치비로 줍니다. 번식법은 5월부터 9월에 녹색이 짙은 싹을 골라 꺾꽂이를 해주며 월동 기간에는 실내의 햇볕이 잘 드는 곳에서 물은 약간 주고 온도는 최저라도 10℃ 가능하면 15℃ 이상을 확보해줍니다. 병해충으로는 깍지진디나 잎 진디가 붙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아랫잎이 떨어져 머쓱한 나무가 되어버리는 경우 추위나 극단적인 물 끊어짐과 어두운 곳에 오래 둔 경우 등 잎이 떨어지는 원인은 몇 가지 생각할 수 있습니다. 크로톤은 1년 내내 햇볕이 드는 곳에 두면 잘 자랍니다. 강광, 고온에서 잎의 색채도 아름다워집니다. 아랫잎이 떨어져 머쓱해진 포기는 상부를 대담하게 잘라 버리고 햇볕이 잘 드는 장소에 둡니다. 하루에 2~3회 분무해 주며 새로운 싹이 트는 것을 기다립니다. 잘라낸 부분은 잎을 5~6장 달린 것을 꺾꽂이해주며 적기는 6월부터 8월이 좋습니다. 또한, 크로톤은 강한 햇살을 좋아하는데, 실내에 두는 경우 가급적 서머프린세스나 아케보노 또는 키라센이나 골드스타와 같은 품종을 고르도록 합니다.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세베리아와 세플레라의 재배 및 관리 방법 (0) | 2021.09.19 |
---|---|
군자란과 코르딜리네 재배 및 관리 방법 (0) | 2021.09.19 |
칼라디움, 칼라테아, 마란타의 관리방법 (0) | 2021.09.19 |
가주멀과 고무나무의 관리방법 및 가지치기 방법 (0) | 2021.09.13 |
에스키난더스, 코룸네아, 클로로피덤 관리방법 (0) | 2021.09.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