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악

음악형식의 정의와 작품(+즉흥곡, 연습곡, 디베르멘토, 환상곡, 마주르카)

by 정보창구 2021. 12. 22.

음악형식의 정의와 작품(+즉흥곡, 연습곡, 디베르멘토, 환상곡, 마주르카)

1. 즉흥곡

즉흥곡은 19세기의 캐릭터리스틱 피스라 하여 표제적인 특징을 가진 곡을 막연하게 불렀던 기악곡의 일종입니다. 작곡자의 마음속에 순간적으로 떠오른 악상을 자유로우면서도 정확한 기법으로 쓴 소품입니다. 이것은 즉흥적 요소는 있으나 즉흥 연주를 위해 작곡된 것은 아닙니다.

 

즉흥곡에는 빠르고 약동하는 부분과 서정적으로 노래하는 부분은 대립시켜 작곡된 예가 많습니다. 이 같은 작품은 슈베르트 즉흥곡 Op.90과 Op.142에서 볼 수 있습니다. 그 의 8곡의 즉흥곡은 시적이고 풍부한 정서를 담고 있어 낭만파 음악에 중요한 방향을 제시하였습니다.

 

2. 연습곡 및 대표적 작품

연습곡이란 연주기교의 습득을 목적으로 쓴 곡인데 연주 기교를 보이면서도 시정을 담은 명곡으로 점차 변모해갔습니다. 연습곡의 구성은 보통 세 도막 형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쇼팽은 연습곡을 연주회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예술적으로 높은 내용을 가진 작품을 썼습니다. 그는 연습곡의 기술에 그치지 않고 기교적인 테두리 안에서 그의 독특한 시적인 정서가 담긴 예술성 높은 작품으로 만들어 냈습니다. 그밖에도 슈만의 “교향곡 연습곡”, 리스트의 “초절기교 연습곡” 등이 있습니다.

 

연습곡의 대표적 작품 쇼팽의 연습곡 Op.25 No.11 a단조 겨울바람

쇼팽이 거의 독학으로 피아노 테크닉을 익혔다는 사실은 의외로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어렸을 때 고향 바르샤바에서 그에게 피아노를 가르쳐 주었던 선생은 바이올리니스트였으며 그나마 어려서 고향을 떠나 타국에서 피아니스트로 활동했던 쇼팽은 피아노 연주상의 문제는 자신 혼자서 해결했어야 했습니다. 그래서 그의 24개 연습곡들은 바로 이러한 쇼팽의 숨은 노력의 과정이자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그가 리스트에게 헌정했던 Op.10 12개의 연습곡에는 1번은 손을 10도까지 넓게 벌리는 연습, 2번은 말을 듣지 않는 넷째 손가락을 부드럽게 만드는 연습, 5번은 검은건반 전체를 사용하는 연습, 8번은 엄지손가락 연습, 10번은 펼침화음 연습 등 그가 해결하려고 했던 피아노 테크닉 상의 문제들을 명시했습니다.

 

그러나 더욱 놀라운 것은 그의 연습곡들은 단순히 새로운 피아노 테크닉을 개발시킨 차원을 넘어 선율, 화성, 리듬에 대한 연습곡들이 피아노연주회용 곡으로도 전혀 손색이 없을 만큼 음악적이고 또 극적이며 예술적으로 완벽한지도 모릅니다. 특히 “겨울바람”이라는 부제가 붙어있는 Op.25 No.11 연습곡은 용솟음치는 듯한 정열이 느껴지는 화려한 피아노곡입니다. 아치 행진곡 같은 주제가 한번 오른손에서 느리게 제시되고 다시 양손으로 반복됩니다. 그리고 이것을 외손이 되풀이하는 동안 오른손에서는 반음계로 휘몰아치는 패시지가 펼쳐지는 곡입니다.

 

3. 디베르멘토

18세기 중엽에 나타난 일종의 기악모음곡인데 형식은 모음곡보다 자유스럽게 되어 있습니다. 주로 실내에서 식사할 때 연주하는 예가 많습니다. 형식은 대단히 자유로운 4~10곡의 대비적인 짧은 악장의 모음곡 형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편성은 3중주, 4중주, 5중주 등의 실내악으로 편성으편부터 규모보다는 원칙적으로 독주 악기를 위해 주로 작곡되었습니다. 18세기 후반 빈 고전파의 작곡가들에 성행하였으며 하이든 66곡, 모차르트 21 곡의 디베르티멘토를 작곡하였습니다.

 

모차르트는 작은 규모의 현악3중주를 비롯하여 피아노와 현악기의 3중주에서 관악 12중주에 이르기까지 현악, 관악, 타악기, 건반악기 등의 광범위하게 작곡하였습니다. 그런데 디베르멘토는 19세기에는 자취를 감추었으나 20세기에 이르러 바르톡과 스트라빈스키 등의 작곡가에 의해 부활하게 되었습니다.

 

4. 환상곡

일반적으로 악상이 떠오르는 대로 형식에 구속 받지 않고 자유롭게 작곡된 풍부한 환상을 가진 기악곡을 말합니다. 시대와 작곡가에 따라 다양합니다.

 

5. 마주르카

마주르카란 원래 마조비아 지방에 그 기원을 두고 있습니다. 보통4/3박자로 두 번째 박자 또는 세 번째 박자에 강세를 두기 때문에 같은 3박자 계열의 왈츠나 미뉴에트와는 느낌이 매우 다르며 점 리듬의 특성이 더해지면서 생기발랄하면서도 소박한 느낌을 줍니다. 또한 마주르카에서는 원래 헝가리풍의 증 2도와 3도의 도약이 빈번하나 쇼팽은 이에 더하여 증 4도와 장 7도 등 불협화적인 음정들을 사용하여 미묘한 화성을 추구했으며 마주르카 본래의 상토적인 리듬에 다양한 변화를 주어 향토색 짙은 시골의 춤을 고상한 피아노 소품으로 변모시켰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