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향곡의 특징과 분석(+고전, 모차르트)
교향곡이란?
관현악을 위한 긴 악곡 형식입니다. 특히 소나타 형식으로 이뤄져 있는데 3~4개의 커다란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 가운데 적어도 1악장 이상은 소나타 형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보통 4악장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제1악장은 소나타 형식의 빠른 곡조, 제2악장은 가요 형식, 제3악장은 미뉴에트나 스케르초의 무곡 형식, 제4악장은 빠른 템포의 론도나 소나타 형식입니다. 물론 개 중에는 1악장으로 된 것, 2악장으로 된 것, 5악장으로 된 것도 있지만 대개는 4악장으로 구성되며 이 4악장이 우리식 표현으로 하자면 기, 승, 전, 결 이 되는 것입니다.
1악장은 대부분 빠르고 생동감이 넘칩니다. 물론 맨 처음 부분은 장중하고 느리게 시작하는 경우도 있지만 곧 빨라집니다. 빠른 제1악장이 끝나면 제2악장은 이와 대조적으로 느립니다. 그래서 제2악장은 대개 아름다운 노래 같습니다. 그에 비하면 제3악장은 춤추는 기분입니다. 고전주의에서는 미뉴에트를 사용했지만 현대 음악가들은 왈츠나 스텝 댄스까지도 사용했습니다. 마지막 4악장은 주로 알레그로로 빠르고 밝고 힘찹니다.
교향곡 즉 심포니라는 용어는 16세기 성악곡에서 사용되다가 점차 기악과 성악기 함께 연주하는 의미로 확장되었으며 17세기에는 대규모 성악작품의 전주나 간주에 짧은 기악곡으로 사용되었는데 오페라의 서주와 간주가 오늘날 교향곡의 모체가 된 것입니다. 1740년 이후 독일의 교향곡은 만하임과 비인, 베를린에서 작곡되었는데 만하임악파의 창시자 슈타미츠(1717년~1757년)는 종전의 3악장 구성에서 미뉴엣 악장을 삽입하여 소나타와 같은 구성인 4악장 구성으로 바꾸는 등 교향곡의 여러 부분에 있어 많은 발전을 이끌었습니다.
비인악파는 하이든, 모차르트, 베토벤이 이끈 악파로서 그 가운데 ‘교향곡의 아버지’로 불리는 하이든은 교향곡의 완성자로 교향곡을 무려 104곡을 작곡하였고, 41곡을 작곡한 모차르트는 보다 우아하고 세련되게 만들었으며 베토벤의 9곡의 교향곡에 이르러 고전주의 교향곡의 마지막 완성을 이루는 동시에 낭만주의 교향곡의 모체가 되었습니다.
1. 고전 교향곡
고전주의 시대의 오케스트라는 현악, 목관, 금관, 타악기의 4개의 부분으로 표준화되게 됩니다. 오케스트라는 모차르트, 하이든의 후기 기악 작품에 이르러 현악기, 목관, 금관, 팀파니 각 2개씩으로 구성되었습니다. 단원 숫자는 바로크 시대보다 더 많아졌지만 실제는 곡에 따라 다릅니다. 고전주의 시대가 관현악에 가장 크게 기여한 분야는 교향곡이었습니다. 교향곡은 대체로 20~45분 정도 연주되는 길이를 가질 뿐 아니라 고전주의 오케스트라가 확장시킬 수 있는 한도 내에서 가장 넓은 음색, 다이내믹 영역을 구사한 대규모의 장르입니다.
고전주의 교향곡은 대게 4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악장의 템포, 분위기의 대조는 광대한 감정 영역을 가능케 합니다. 가장 전형적인 악장 배열은 활달하고 극적인 빠른 악장, 서정적인 느린 악장, 춤곡 풍의 악장, 영웅적이거나 밝은 느낌으로 빠른 악장으로 되어 있습니다. 고전주의 교향곡의 제2악장은 대게 템포가 느리며 소나타형식 또는 변주 형식 등 자유로운 악곡 형식을 갖습니다. 제3악장이 한결 엄격한 미뉴엣 형식인데 반하여 제4악장 피날레는 소나타 형식의 원리에 기초를 두지만 보통 론도와 비슷하게 밝고 가볍고 빠른 특징을 갖습니다. 고전주의에서 낭만주의 음악에 이르는 영향력 있는 다리 역학을 한 9개 교향곡을 작곡한 베토벤은 동시대 사람들에게 풍부한 음악적 재능과 두려움을 모르는 독립성, 당대의 문제들에 대한 열정적인 참여 때문에 하나의 혁명적인 존재였습니다.
베토벤은 특히 교향곡을 통해 음악기법을 새로운 표현의 경지에 올려놓았습니다. 그는 기존의 관현악에 새로움을 요구했으며 피콜로, 더블 바순, 트라이앵글, 베이스드럼, 심벌즈, 제3트롬본 그리고 마침내 합창과 독창을 교향곡에 처음 도입했습니다. 그는 이전 소나타 형식 가운데 덜 중요하게 이루었던 부분을 확장하고 변주를 활용했으며 푸가 악절 도입, 때로는 중간에 휴지 없이 악장과 악장을 연결시켰으며 이전의 미뉴엣 악장을 더욱 빠르고 명쾌한 스케르초 악장으로 완전히 대체했습니다.
2. 모차르트 교향곡
모차르트의 작품으로 알려진 교향곡은 총 41작품입니다. 맨 첫 번째 작품은 8살 때 작곡했는데 3악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연주시간은 대략 11분 정도의 길이입니다. 바이올린 2부와 비올라, 베이스 등의 현악 기부와 2명의 오보에, 2명의 호른이 연주하도록 된 작은 규모의 곡입니다. 모차르트는 일곱 살 때부터 3년 반에 가까운 기간 동안 독일의 여러 지역, 벨기에, 프랑스, 네덜란드 등을 여행했는데 런던의 유명한 음악가였던 요한 크리스티안 바흐를 만나 많은 영향을 받았습니다. 11세 때인 1767년 두 번째 빈 여행을 떠나 빈의 음악가들이 새롭게 시도하는 교향곡의 형식을 만났습니다. 악기 편성도 추가하여 표현력을 높였고 악장도 미뉴에트를 추가하여 4악장으로 구성하기 시작했습니다. 모차르트의 독창성이 나타난 첫 교향곡으로 17세 때인 1773년 완성한 25번 교향곡을 꼽습니다. 모차르트의 교향곡 중 단조로 구성된 교향곡은 단 2곡인데 이 곡과 40번 교향곡입니다.
모차르트 최고의 교향곡은 가장 어렵고 힘든 시기인 1788년 작곡한 마지막 3대 교향곡을 꼽습니다. 기적의 교향곡이라고도 말합니다. 백조의 노래라는 찬사를 받는 39번 교향곡, 천사가 들어가 노래하고 있는 것 같다고 표현했던 40번 교향곡, 최고의 품격을 뽑내는 41번 주피터 교향곡을 말합니다. 이 세 작품을 작곡하는데 불과 두 달도 걸리지 않았다고 합니다. 같은 시기에 연달아서 작곡했다고 해서 세 작품이 비슷한 것은 아닙니다. 모두 다른 개성으로 완성된 형태의 음악 구조를 자랑합니다.
'음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전 고향곡의 대표적 작품(+모차르트 교향곡) (0) | 2021.12.28 |
---|---|
고전 고향곡의 대표적 작품(+하이든 교향곡) (0) | 2021.12.24 |
음악형식의 정의와 작품(+즉흥곡, 연습곡, 디베르멘토, 환상곡, 마주르카) (0) | 2021.12.22 |
음악형식의 정의와 작품(+왈츠, 세레나데, 랩소디) (0) | 2021.12.22 |
음악형식의 정의와 작품(+서곡, 조곡) (0) | 2021.12.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