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현악기 하프의 악기론
발현악기란 손톱, 손가락 또는 피크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줄을 튕겨 연주하는 악기를 말합니다. 서양 악기로는 기타, 만돌린 등이 있으며 우리나라의 국악기로는 거문고, 가야금들이 있습니다. 바이올린은 찰현악기이지만 손가락으로 줄을 튕겨서 연주하는 피치카토 주법도 사용합니다. 또한 콘트라베이스는 재즈곡을 연주하다 보면 활을 써서 연주하는 아르코 주법보다 활을 튕겨서 연주하는 피치카토 주법의 비중이 비슷합니다.
현들은 각기 하나의 음을 내며, 길이 순서대로 배열된 현들은 짧은 현일수록 높은음을 내고 긴 현일 수록 낮은음을 냅니다. 공명통은 대개 나무나 가죽으로 만듭니다. 활형 하프에서는 목(윗부분의 줄걸이판)이 몸통과 부드러운 곡선 모양으로 연결되어 있고, 각형 하프에서는 몸통과 목이 모난 각을 이루면서 연결되어 있습니다. 반면에 틀형 하프(대부분 유럽에 있음)에서는 몸통과 목이 각을 이루면서 앞 기둥에 연결됨으로써 현을 단단히 조입니다. 그러나 앞 기둥이 없는 하프는 비교적 현이 헐겁게 조여져서 틀형 하프에 비해 낮은음을 냅니다.
옛날 하프의 구조에 복잡한 기계장치를 보강한 근대식 겹 페달 하프는 반음계의 모든 음을 낼 수 있습니다. 고대 지중해와 중동 문명지대에서 널리 사용했지만, 그리스·로마에서는 아주 드물었습니다. 이집트·메소포타미아 지방에서는 BC 3000년경부터 하프에 대해 언급한 자료가 나타나고 있는데 대부분 수직으로 놓고 양손으로 뜯었으나 메소포타미아에서는 무릎 위에 하프를 놓고 현을 연주자 쪽으로 향한 상태로 채를 사용해 연주했습니다. 수평형 하프는 800년경의 인도의 그림에서 나타나지만, 중동지방에서는 600년경에 사라졌습니다. 이때쯤이면 활형 하프도 중동지역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게 되었지만, 오늘날까지도 아프리카나 미얀마, 그 밖의 몇몇 오지에서는 계속 사용되고 있습니다.
각형 하프는 이란에서 19세기까지도 계속 사용되었습니다. 프레임 하프가 유럽에 처음 나타난 것은 9세기였지만 기원지는 확실하지 않습니다. 프레임 하프는 중세에 특히 켈트인들이 즐겨 사용했던 하프이며 철사로 현을 만들었고 앞 기둥이 외곡선을 이루는 것이 특징이었으며, 나중에는 온음 계적(한 옥타브를 7개 음으로 나누는 방식)으로 조율했습니다. 14세기 말 유럽 대륙에서 고딕 하프로 바뀌었습니다. 고딕 하프는 목이 좁고 곧으며 공명 통도 얇았으며, 1500년경 또는 이보다 앞서 양장현을 사용했습니다. 유럽에서 사용한 이 온음계 하프는 근대 하프로 발전했으나, 한편으로는 라틴아메리카의 민속악기로 남아 있습니다.
17세기부터 하프는 음악양식의 변화에 부합하기 위해 점차 반음계 음을 낼 수 있도록 개량되었습니다. 이를 위해 우선 조율 핀으로 된 페달 장치를 사용하여 필요할 경우 특정 현의 음높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했고, 이와는 달리 한 옥타브 안의 현의 수를 12개로 만들기도 했습니다(반음계 하프). 17세기 티롤 지방에서 조율 핀을 처음 사용했으며 1720년 바이에른의 첼레스틴 호흐브루커는 7개의 페달의 지렛대를 통해 조율 핀을 조절하도록 했습니다. 1750년 호흐브루커가 만든 홑 페달 하프를 조르주 쿠지노가 개량했습니다.
그는 조율핀 대신 금속판을 사용하여 현을 잡아당겼고, 1792년에 세바스티앙 에라르는 금속판 대신 회전판을 사용했습니다. 이미 16세기경에 반음계 하프는 현이 2열로 달린 이중 하프의 형태로 제작되었고, 심지어 웨일스 지방의 삼중 하프는 현이 3열로 달려 있었습니다. 반음계 하프에는 19세기 말엽 파리의 플레옐사가 만든 형태도 포함되는데(X자 모양으로) 현의 열을 서로 교차시킨 이 하프는 미국에서 제작된 이전 형태의 경우에는 현의 각 열마다 각각 독자적인 목과 앞 기둥을 갖고 있었습니다. 줄이 46~47개가 있으며 2중 페달이 있습니다. D플랫 조로 조율되어 있으며 페달로 반음 두 개를 올릴 수 있습니다. 음색이 품위 있고 청아하며 천사의 악기를 연상하게 합니다.
발현악기 만돌린의 악기론
18세기에 생겨났으며 이탈리아 여러 도시에서 다양한 변형들이 제작되었는데 그중에서 나폴리 만돌린이 대표적인 유형입니다. 형태와 크기는 주로 나폴리 출신 제작가 파스콸레 비나차(1806~82)의 영향을 크게 받았습니다. 4쌍의 2중 금속현을 바이올린 음과 같은 g-d′-a'-e″로 조율했으며 기타와 같은 나사식 줄감개(machine head)를 사용합니다. 몸체는 배[梨] 모양의 아치형입니다. 17개의 줄 받이가 달린 지판은 몸체보다 약간 올라와 있으며, 줄은 악기 끝에 맨입니다.
앞판 가장 넓은 곳에 줄받침(bridge)이 있고 거기부터 몸통이 급격히 아래로 구부러져 있어 현의 압력을 크게 하여 화려한 음을 내게 됩니다. 음높이가 같은 1쌍의 줄을 피크로 빠르게 뜯어 독특한 트레몰로 음을 낼 수 있습니다. 타원형 울림 구멍 주위의 조개껍데기로 만든 판은 피크 때문에 공명판이 상하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20세기에 들어와서는 소프라노 만돌린에서 콘트라베이스 만돌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크기로 제작되었습니다.
만돌린을 위한 주요작품으로는 안토니오 비발디의 만돌린 협주곡과 모차르트의 오페라 〈돈 조반니 Don Giovanni〉 가운데 세레나데를 들 수 있습니다. 한편 미국 블루그래스(bluegrass:미국 남부 애팔래치아 산악지방의 컨트리 음악) 밴드에서는 몸통이 얇고 뒷면이 평평한 만돌린을 씁니다. 또한 18세기의 밀라노 만돌린은 중세 만도라의 변형으로 5~6개의 현을 지닌 류트 모양의 작은 악기입니다.
'음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악기의 대표적 작품 (0) | 2021.12.06 |
---|---|
현악기의 대표적 작곡가 (0) | 2021.12.06 |
찰현악기 비올라의 악기론(+첼로, 콘트라베이스) (0) | 2021.12.05 |
찰현 악기 바이올린의 악기론 (0) | 2021.12.04 |
기초 음악이론 나타냄말과 빠르기표 (0) | 2021.12.04 |
댓글